세일즈포스의 오그 종류, 라이센스, 그리고 가격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세일즈포스는 주로 세일즈, 마케팅, 고객 서비스 등 다양한 업무 영역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여러분의 회사는 업무 분야와 요구 사항에 맞게 오그를 구매 하였을겁니다. 세일즈포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오그들이 존재합니다.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은 결국 가격또한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어떤 종류를 선택하고 어떤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냐에 따라 기능과 라이센스 범위 및 개수가 달라집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세일즈포스의 다양한 오그 종류와 그들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각 오그의 가격 범위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라이센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일즈포스 제품 (Product)과 오그 종류 (Edition)
현재 세일즈포스에서 서비스 중인 다양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ales, Service, Marketing, Analytics가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언급됩니다. 각 제품들은 여러 유형의 종류 혹은 에디션 (Edition)으로 구성됩니다. 모든 제품의 에디션을 언급할 수 없으니 여기서는 Sales Cloud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에디션에 따라 지원되는 기능과 비용이 달라지니 도입을 고려하시는 분이라면 반드시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링크: https://www.salesforce.com/kr/editions-pricing/sales-cloud/
Sales Cloud (2023년 6월 기준)
- 에디션 별 기능 차이는 생각보다 큽니다: 오브젝트, 커스텀 필드, Validation생성 개수 등...
- 세부 기능 차이는 여기서 pdf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품/서비스 계약은 연 단위가 원칙입니다. 다만 Essentials은 스타트업이나 중소 규모에서 주로 이용되는 서비스인걸 고려해서인지 월간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모든 에디션은 모바일 기능을 지원 (다만, 세일즈포스는 주로 모바일보다는 PC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 집니다).
- 사용중인 에디션을 Downgrade는 못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Downgrade 하기 위해서는 모든 데이터를 Export해서 새롭게 오그를 구매해서 옮기는 방법이라고 하니 에디션 선택 시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료 오그
- Playground와 Developer Edition에는 생각보다 큰 차이는 없습니다.
- Playground는 트레일헤드에 좀 더 포커스를 맞추어져 있습니다. 단순 트레일헤드 용도라면 Playground를 생성해서 사용하고 충돌 발생할 경우 삭제하고 다시 생성하면 됩니다.
- Developer Edition을 쓰는 경우 다시 가입 생성을 해야하고 트레일헤드에서 요구하는 기본 세팅이 안 되어 있어 진행에 조금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 둘의 기본적인 지속 가능한 기간은 6 개월 입니다. 다만 만료되기 전에 접속만 해주면 다시 연장되기에 실질적으로 영원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이센스 (License)
라이센스는 유저가 여러분의 오그가 가지고 있는 특성(features)과 기능(functionalities)에 대한 엑세스 수준을 결정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하면... 위에서 설명한 제품과 에디션 선택으로 A~H 까지의 기능들이 이용가능하다고 생각해보죠. 라이센스 A는 A~C까지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라이센스 B는 D~H 까지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각각의 라이센스는 profiles, permission sets, the role hierarchy 등으로 세부적으로 조정됩니다.
- 유저 1 명은 반드시 1개의 라이센스를 가집니다.
- 유저가 비활성화 되면 해당 유저에 할당된 Permission set도 같이 제거 됩니다.
오그의 라이센스 현황 확인 방법
Setup -> Company Information -> 페이지 하단 User Licenses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연습때는 크게 상관없지만 업무에 있어서 무작정 유저를 생성해버리면 금방 리밋에 걸립니다. 라이센스를 추가로 구매하는건 많은 비용이듭니다. 애초에 불필요한 계정을 생성하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한번 생성한 유저는 delete를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적절하게 deactivate 해야 합니다.
유저 Freeze & Deactivate
Setup -> User -> 해당 유저 클릭 -> Freeze -> Edit -> Active 체크 박스 해제 -> Save
Freeze는 무엇인가요? 해당 유저를 로그인 못하게 하는 겁니다. 보통 일정 회수 이상 로그인 실패하면 자동으로 Freeze 됩니다 (이것도 설정 가능). Freeze가 되면 inactive 되나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다른 개념임). Freeze는 언제든 유저 상태에 상관없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해당 유저가 할당된 곳이 있다면 바로 inactive 상태로 만들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Freeze가 전제로 되어야하고 그 다음 inactive로 진행하게 됩니다. 비로서 inactive 상태가 되어야 라이센스가 확보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세일즈포스의 제품, 에디션, 그리고 라이센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세일즈포스가 다루고 있는 제품과 에디션, 라이센스의 종류가 방대하다 보니 제가 접해보지 못한게 대다수 입니다. 접해보지 못한 내용을 적을려고 하니 결국 복붙이라 제가 일하면서 들어보거나 접해본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라이센스 내용을 다루면서 프로필까지 같이 다룰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브젝트, 필드, 프로필, 계층 (Hierarchy) 이렇게 묶어 접근하는게 더 좋을거 같아 다음 포스트에서 내용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링크
제품 & 에디션
https://www.salesforceben.com/getting-started-salesforce-product-edition/
https://www.salesforce.com/kr/editions-pricing/sales-cloud/
https://www.demandblue.com/salesforce-editions-comparison/
https://help.salesforce.com/s/articleView?id=sf.overview_edition.htm&type=5
라이센스
https://help.salesforce.com/s/articleView?id=sf.users_understanding_license_types.htm&type=5
https://trailhead.salesforce.com/content/learn/modules/salesforce-licensing
'Salesforce > Admin_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일즈포스 어드민 오브젝트와 필드 (0) | 2023.07.02 |
---|---|
세일즈포스 어드민 프로필(Profile)과 퍼미션 셋(Permission Set) (2) | 2023.06.23 |
세일즈포스 오그 (Org) 기본적인 메뉴 구성과 이름 (2) | 2023.06.04 |
트레일헤드 기본 사용법 (3) | 2023.05.27 |
세일즈포스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누가 도입하나요? (0) | 2023.05.21 |